728x90
반응형

저는 MSG나 사카린, 아질산나트륨, 제로칼로리 음료 등에 대한 공포심이 없습니다.

 

그렇지만 저 역시 가능한 섭취를 피하는 식품첨가물이 있는데, 바로 색소류입니다.

그래서 식품을 사기 전에 성분표를 꼼꼼하게 확인합니다.

 

락색소와 코치닐추출색소는 모두 벌레에서 추출해내는 색소입니다.

둘 다 붉은 계열의 색소라서, 주로 저가의 식육가공품에 포함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또한 붉은 색깔의 음식이라면 종류를 가리지 않고 뜬금없이 들어가는 경우가 많습니다. 젤리나 과일 가공품도 주의하셔야 합니다.

과거에는 코치닐추출색소가 정말 많은 가공식품에 포함되어 있었는데, 지금은 찾아보기 힘들 정도로 사용빈도가 감소한 것이 체감됩니다. 그런데 락색소는 지금도 소시지 등의 음식에 종종 보이네요.

 

많은 사람들의 오해와는 다르게, 천연추출물이라고 해서 안전하고 합성물질이라고 해서 위험한 것은 아닙니다.

그런데 우리가 저 벌레 색소를 꼭 먹어야 할 이유가 있을까요?

 

맛이나 보존에 영향을 주는 성분이라면 또 모르겠으나, 단지 색상을 조금 더 돋보이게 해 준다는 이유로 벌레 추출물을 굳이 먹을 필요는 없다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저는 락색소나 코치닐이라는 단어가 성분표에 보이면 무조건 거릅니다.

 


 

타르색소는 종류가 많아서 여러 가지 색상을 내는 데 사용됩니다.

그래서 피하기가 더 어렵습니다. 그래서 저 역시 완벽하게 안 먹을 수는 없고 가능한 피하려고 노력만 하고 있습니다.

 

색깔 있는 탄산음료류에도 포함되어 있기에, 그런 것들을 가끔 먹어 보기는 하지만 최대한 스프라이트 제로를 먹으려고 노력하는 정도죠.

 

물론 타르색소를 조금 먹는다고 해서 인체에 치명적이거나 당장 병이 나는 것은 아니지만, 타르가 해로운 물질이라는 점은 분명한 사실이니까 피하면 피할수록 좋겠죠.

MSG나 사카린에 대한 근거 없는 공포와는 차이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갈아만든 배, 탱크보이 등의 배맛 간식들이 맛있었는데, 마침 배맛 젤리류가 보여서 먹어 봤습니다.

 

그런데 생각보다 배맛 젤리류는 별로네요.

 

맛이라는 게 주관적인 영역이라 객관적 평가는 어렵지만, 배맛 젤리류는 배맛 음료나 아이스크림과 비교하면 맛과 풍미가 덜하기도 하고 다르기도 합니다. 혹시 시도해 보실 분들은 대량구매하지 마시고 1개만 사서 체험해 보세요.

 

uha 코로로 젤리는 마치 후랑크소시지 케이싱같은 느낌으로 코팅되어 있는 과일맛 젤리인데, 예전에는 꽤 비쌌던 것 같은데 요즘에는 1500원 이하 가격에 판매하는 직구템도 있어서 몇 개 사 봤습니다.

 

배맛도 있어서 사 봤는데, 이상하게 배맛에서만 뭔가 씹히네요. 배 과육이 다른 과일보다 거친 편인데 그걸 재현한 건가?

코로로 젤리는 케이싱에 대한 호불호가 갈릴 것 같습니다. 약간 비닐 느낌이라서... 저는 앞으로 굳이 먹을 것 같지는 않네요. 하지만 신기한 맛이 나온다면 한번쯤은 먹어볼 수도 있겠죠 ㅋㅋ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https://www.youtube.com/watch?v=IRZuk8BowIM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https://www.youtube.com/watch?v=KmlMybTeJTE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주식 어플 중에서 총자산을 확인하기 어려운 것들이 종종 있습니다.

보통 종합자산이나 총자산 확인 메뉴가 있는데, 없는 것들이 있어서요.

 

 

해외주식 - 해외주식 잔고 항목으로 들어가서, 상단 탭 계좌잔고 화면에서 "추정자산총액"을 누르면 됩니다.

 

원화예수금 외화예수금 주식평가금 추정자산총액 다 나옵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정말 알고 싶은 내용이었어요 ㅋㅋㅋ

 

판매처에 따라 균이 있기는 하지만 병원균은 아니므로 그냥 먹어도 별다른 문제가 없다는 결론입니다.

 

저 역시 해당 영상의 내용에 공감합니다.


 

그런데 공감과 별개로, 제 개인적인 행동방침은 조금 다릅니다. 저는 그래도 가능하면 씻어 먹을 겁니다.

 

보관 및 운송과정에 따라 음료수 캔에 균이 존재할 수도 있겠지만, 그것까지 기어코 신경써서 세척할 이유까지는 없다고 생각합니다. 어차피 그정도 세균은 어디에나 존재하니까요. 당장 사람의 입 안, 손, 음식 먹을 때 쓰는 식기에도 세균이 다 있을 텐데 그런 것까지 신경쓴다면 내 주위 모든 물건을 멸균해야 한다는 웃지 못할 결론이 나오게 됩니다.

하지만 누구도 그렇게 살지 않고, 그럴 필요가 없다는 것을 알고 있죠.

 

그걸 다 아는 사람이 왜 씻어 먹자고 주장하는지 궁금하실 텐데, 제 생각은 이렇습니다.

생산과정에서 음료수 캔 자체가 오염될 가능성은 제로에 가깝다고 보지만, 판매점에서의 운반 및 보관과정은 찝찝하거든요.

 

진열장에 들어가기 전, 박스 포장 상태까지는 깨끗할 가능성이 아주 높습니다.

그런데 진열하기 위해 만지는 사람의 손, 진열장 자체의 청결도에 대해서는 100% 신뢰하기가 힘들어요.

 

막상 편의점 아이스크림 냉장고 손잡이 같은 것만 봐도, 여름철에는 벌레 죽은 시체가 끼어 있는 곳들이 많습니다.

뭐 우리 동네만 그럴 수도 있긴 해요;;;

그런 곳을 만지고, 돈을 만지고, 바닥에 떨어진 물건 정리한 손으로 음료수 캔 정리도 할 텐데, 그런 상황을 아는 이상 누가 뭐래도 나는 찝찝합니다.

 

물론 친구들이랑 벤치에서 맥주 한 캔 하는 상황에서까지 근처 화장실 가서 씻어 먹지는 않겠지만, 저는 크게 분위기 깨는 상황이 아니라면 가능한 한 캔도 씻어서 먹을 겁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2ziYt4hbrPw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윙스탑 순살은 처음 먹어 봤는데, 덕분에 내 취향에 대해 깊이있게 깨달을 수 있었습니다 ㅋㅋ

나는 윙 봉 텐더 가슴살패티를 좋아했던 거였어!!!

닭껍질도 바삭한 건 먹을 수 있는데, 튀김옷 아래의 축축한 닭껍질은 입에서도 싫어하고 속에서도 안 받아 주네요.


 

윙스탑 윙봉은 꽤 만족스럽게 먹었어서 순살은 어떤지 궁금했는데 어떻긴 뭐가 어떻겠어요.
그냥 일반 치킨이지 ㅋㅋㅋㅋ 맛없다는 건 아닙니다! 제가 바로 희귀한 존재인 치킨에 관심없는 사람이거든요.
 
양은 많지만 가격도 올라갑니다.
그런데 확실히 튀김옷 밀가루반죽 비중이 많은 느낌이라서 별로 추천은 못하겠어요.
모든 고기는 뼈에 붙어있는 부위가 진리다!


 

신년행사로 순살 주문하면 일반 감튀가 아니라 부두 후라이를 무료제공하고 있는데, 저는 그걸 못 보고 순살세트로 주문해서 부두후라이를 못 받았습니다.
 
떡하니 있는 광고판을 내가 안 보고 주문한 거라 누구한테 하소연할 수도 없고 ㅋㅋ
그렇지만 단품에만 행사를 적용하고 세트에는 미적용하는 건 솔직히 치사했지... 앞으로는 체리피킹 모드로 들어가서 마음에 드는 행사 할 때만 먹어야겠습니다! 


 
 그리고 이제 매장에서 먹으면 종이컵을 안 주네요... 민심 떡락하는 소리가 들린다 들려...
일회용품 규제도 이제 없어지지 않았나? 종이컵 왜안줘???
페트 재질 느낌의 플라스틱잔인데 그걸 세척해서 다시 쓰는 건지...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식사에 국물용으로 아주 좋습니다.

하지만 아쉬운 점이 없는 건 아닙니다.

 

미소된장 생물이어서 무게가 은근히 나가고, 된장을 짜내는 것이 번거롭고, 짜내는 과정에서 비닐팩 입구에 된장이 묻기 때문에 버릴 때 신경을 좀 써야 합니다.

그리고 먹다 보면 마지막에 가라앉은 뒷맛이 텁텁한데, 그게 싫다면 억지로 다 먹지 말고 가라앉은 아랫물은 버리면 됩니다.

그리고 저는 종이컵 1개 가득 분량이면 충분한데, 이건 제 기준으로 종이컵 2컵 정도라서 양이 좀 많은데 원물 특성상 나눠 먹기가 불편합니다.

 

건더기스프가 다소 부실하긴 한데, 한국 라면 먹는 사람 입장에서 감히 지적하기는 어렵죠 ㅋ

제 입장에서는 건더기스프에 미역 비중이 높다는 점이 아쉽네요.

좀 꾸덕꾸덕한 느낌의 미역이 꽤 많이 들어 있는데 제가 불호하는 타입이라...ㅠ 

 

과립이나 분말형으로 만들고, 미역 대신 파를 채우면 아주 좋을 것 같은데 ㅠㅠ

 

사실 예전에도 한번 먹어 보고 똑같이 느꼈는데, 그걸 잊고서 다시 샀네요 ㅋㅋ

 

생각만 해놓고 끝내는 것과, 어딘가 기록해 놓는 것은 확실히 다릅니다!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